최신의 개인 맞춤가공법인 프리폼가공은 비구면, 전자제어 3D CNC가공으로 아토릭, 누진굴절력렌즈처럼 복잡한 형태의 렌즈면을 만드는 가공기술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상하좌우, 그리고 앞뒤로 움직여서 렌즈 표면을 가공할 수 있는 컴퓨터 수치 제어(CNC)가공기기로 가공한다.

3축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절삭기는 실제로 어떤 종류의 렌즈이든지 정확하게 고른 렌즈면을 생산해낼 수 있고 부드러운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컴퓨터로 정밀하게 제어해서 렌즈 표면을 고광택으로 연마할 수 있다.

프리폼 제조 방식을 사용하면 원하는 대로 커브를 만들 수 있는 것 이외에도 반가공 렌즈 블랭크를 가지고 다양한 렌즈 디자인을 할 수 있다.

후면 누진굴절력렌즈는 전면은 구면 몰드로 되어 있고 후면은 프리폼 제조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능이 향상된 반가공 블랭크의 전면은 제조사의 몰드 공법으로 만들어진 누진면으로 되어있고 후면에는 광학적으로 최적화되어 있는 원용, 다목적용, 근용 중심의 세 가지 다른 형태로 만들 수 있는 프리폼면으로 되어 있다.

누진굴절력렌즈의 광학적 품질은 공장에서 만들어 내는 몰드의 품질에 달려 있다.

양면 렌즈는 전면은 대부분 가입도가 들어가 있는 몰드 공법으로 만들어 낸 누진면으로 되어 있고 후면은 잔여 가입도를 포함한 프리폼 누진면과 처방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는 커브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면렌즈의 광학적인 품질은 두 개의 렌즈 표면 특성을 어떻게 나누느냐에 달려 있다.

실제 누진대가 들어가 있는 누진 광학면의 위치가 전면인지 후면인지, 아니면 전후면의 양쪽으로 나눠져 있는 세 가지 형태의 프리폼에 상관없이 비점수차 양은 최소한이 된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안경렌즈는 렌즈의 두께를 무시할 만한 광학시스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누진굴절력렌즈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비점수차의 양은 누진 광학면의 위치에 의해 그다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누진렌즈 디자인은 손님의 시각적 요구사항에 맞춰 충분히 맞춤제작할 수 있다.

1990년대에 독일의 렌즈 디자이너들이 처음으로 프리폼기술을 이용한 누진굴절력렌즈를 맞춤제작하기 시작했다. 안경처방검사값이 복잡한 계산을 을 하는 강력한 광학 디자인 엔진이 있는 중앙서버컴퓨터에 온라인으로 전송된다.

디자인은 손님의 안경 처방과 피팅 기하학 및 안경테의 정보에 맞춘 누진굴절력렌즈로 만들어진다.

렌즈디자인의 이상적인 형상은 최적의 누진대 길이와 최적의 근용 인셋을 중요한 요소로 한다.

누진 설계면을 후면에 두면 원치 않는 배율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누진굴절력 렌즈의 주변부를 통해서 볼 때 사물이 변형 또는 굽어 보이는 원인이 되는 비틀림수차는 전면을 가로지르는 커브의 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배율의 변화와 커브의 차이에 의한 결과인, 원치 않는 난시 도수에 의해 생기는 배율의 변화, 이 두가지가 원인이다.

렌즈의 후면에 누진굴절력렌즈의 광학면을 두는 것은 이런 배율의 변화를 전면 커브의 영향으로부터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누진 설계면이 후면에 있으면 전면에 있을 때보다 좀 더 눈에 가깝게 붙여 주기 때문에 약간 더 넓은 시야가 얻어질 수 있다. 이렇게 광학 성능을 중시하여 최적화 설계를 실시한 새로운 누진굴절력렌즈는 시선의 방향과 프레임 착용상태까지 고려한 값으로 비구면 보정을 실시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