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우 눈(동공) 높이가 다른 경우의 레이아웃
2mm 이내 - 주안(우위안)을 기준하여 좌우 같게 한다.
2mm 이상 - 좌우 높이차이의 평균(중심)높이에 한다.
1. 전제로 원방 수평시에서 좌우 눈높이가 다른 고객이 근방시에서도 다른 경우, 즉 원방안위와 근방안위가 좌우 각각 다르게 회선한다면 원방시의 왼쪽눈과 오른쪽눈 높이에 각각 OH를 맞춰도 근방은 문제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원용 눈높이의 위치가 다르고 같은 용도로 근용의 눈높이 위치가 다르다면, 좌우 OH를 다르게 레이아웃을 해야 할 것이다.
HOYA에서도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제크하기 위한 방법이바로 미러법이다.
2. 그러나 미러 확인 결과, 원방시의 눈높이가 다르나 근방시의 위차가 좌우 같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PAL의 경우 원용보다 근용의 시야영역이 좁으므로 근용의 위치 우선으로 레이아웃으로 한다면 원용위치를 같은 높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고객의 PAL의 용도가 원용 우선이라면 Dr.Sheed가 말하는 대로 가각각 OH를 맞추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Dr.Sheed가 상기 1,2 경우의 어떤 경우를 해석하였는지에 따라 답은 달라질 것이다. 그런 의미로 미러법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HOYA에서는 그림과 같이 좌우 동공의 높이가 다른경우의 레이아웃은 이중, 삼중초점렌즈의 경우 위치결정은 낮은 쪽의 동공에 맞추어 좌우수평으로 하고, 누진굴절력렌즈의 OH결정은 좌우 눈높이 차이가 2mm이내의 경우는 주안에 맞추어 좌우수평으로 한다.
이유는 원방시의 경우 좌우높이는 달라도 근방시는 같은 높이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누진다초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진렌즈고객 불만족시 대응방법 (0) | 2023.03.15 |
---|---|
양면복합누진렌즈란 무엇인가? (0) | 2023.03.15 |
개인맞춤누진렌즈 프리폼이란 무엇인가? (0) | 2023.03.15 |
중.근용누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15 |
누진다초점렌즈 착용중 주의할 점 (0)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