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이 즐겨 먹는 식품들은 대부분 부드러워 씹어 먹을 만한 식품이 별로 없다. 

 

또 칼로리는 많은 데 비하여 소화가 잘되어 쉽게 배가 고파지고, 허기진 배를 채우기 위해 더 많이

 

먹게 되어 쉽게 살이 찌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그리워하는 소울푸드는 현미밥,보리밥, 채소, 산나물, 미역이나 다시마 등 씹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맛을 음미하며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이 대부분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장수촌인 히말라야의 훈자 지방에서 밀을 거칠게 부수어 만든 짜파티,중국의 

 

마을에서 옥수수를 거칠게 갈아 만든 옥수수죽이 소울 푸드일 수 있다.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경우에는 배설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배설 기능을 높여주면 살이 빠지는 경우가 많은데, 배설 기능을 높여주는 물질은 식이섬유이다.

 

식이섬유란 우리 몸속에서 소화되지 않는 식물성 물질이다.

 

소화되지 않는 물질이기 때문에 예전에는 쓸모없는 물질로 여겼다.

 

하지만 식이섬유는 우리 몸속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발암물질을 흡착하여 배출시켜 대장암을

 

예방해주고, 변의 양을 늘려 변이 잘 나오게 해주는 유용한 물질이다.

 

2006년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의 하루 평균 식이섬유 섭취량은 19.8g으로, 하루 섭취 권장량인 25~30g

 

에 크게 미달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섭취량은 10~15g 정도로 권장량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100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살아 있는 통고식을 먹었다.

 

그러나 과학이 발달하고 맛있는 것만 추구하다 보니 쌀,보리,밀 등 곡물의 껍질을 벗겨 식이섬유를

 

제거하고 속에 있는 맛있는 부분만 먹기 시작했다.

 

그 결과 각종 성인병이 예전에 비해 월등히 많이 발생하고 있다.

 

1985년 트로웰과버킷트는 {식이섬유의 부족과질병}이라는 책에서 '서양 사람들의 대변의 양이

 

100~200g인데 반해여 아프리카 사람들은 식이섬유유 섭취량이 많아 대변량이 많으며, 비만,당뇨,

 

심장질환, 암등의 성인병이 없다.'고 보고한 후로 식이섬유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요즘 미국의 슈퍼마켓에 가보면 흰 빵보다는 통밀가루로 만든 빵이 더 많이 팔리고 있다.

 

아침식사 때 먹는 시리얼에도 보리나 오트밀,통밀을 섞어 만든 것들이 많다.

 

소비자들이 식이섬유가 들어 있는 식품을 찾기 때문이다.

 

 

 

- 영혼의식탁 책본문중 

'눈에관한 이야기 > 건강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깻잎의 효능  (0) 2023.03.10
식이섬유가 풍부한 미나리  (0) 2023.03.10
독소배출에 좋은 음식  (0) 2023.03.10
식이섬유는 몸을 가볍게 한다  (0) 2023.03.10
트랜스지방이란?  (0) 2023.03.10

예로부터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야 건강하다.'고 했다.

 

대변의 대부분은 미생물로 구성되어 있다.

 

미생물은 살아 있는 것도 있지만 이미 죽어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미생물은 죽으면서 그냥 곱게 죽지 않고 독소를 배출한다.

 

대변에는 많은 미생물과 독소가 있으니 빨리 배출되지 못하면 편하지도 않을 뿐더러 몸에 해로운

 

것은 당연하다.

 

변비는 만병의 근원이 될 뿐만 아니라 심하면 대장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주일에 변을 보는 횟수가 3회 미만이거나 하루 대변의 양이 24g 이하로 적게 나오거나, 변을

 

보는  데 너무 힘이 들과 변이 단단하게 나올 때 변비라고 한다.

 

변비가 없고 변을 잘 봐야 몸이 가벼워진다.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식이섬유를 많이 섭취하면 변 보기가 쉬워지고 살이 빠진다.

 

 

 

- 영혼의 식탁 본문중 

'눈에관한 이야기 > 건강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깻잎의 효능  (0) 2023.03.10
식이섬유가 풍부한 미나리  (0) 2023.03.10
독소배출에 좋은 음식  (0) 2023.03.10
소울푸드란??  (0) 2023.03.10
트랜스지방이란?  (0) 2023.03.10

트랜스지방은 식물성 기름에 수소를 첨가하여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의 기름으로 인위적으로

 

변형시킨 지방을 뜻하는데. 마가린이 대표적인 트랜스지방 식품으로 꼽힌다.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식물성 기름은 공기 중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쉽게 변화되어 오래 보관하면

 

냄새가 날 뿐만 아니라액체 상태라서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름에 수소를 첨가하여 고형의 트랜스지방으로 만들면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으며,

 

가공식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기 쉽다.

 

하지만 트랜스지방은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지방산이다.

 

가공적으로 생산된 이 지방을 섭취하면 우리 몸은 이 지방산을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모른다.

 

그래서 트랜스지방은 우리 몸속에서 분해되지 않고 혈관에 쌓여 심장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튀김류에 사용하는 식용유는 처음에는 우리 몸에 해롭지 않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지만 4시간 이상

 

사용하면 트랜스지방으로 변화되어 버린다.

 

따라서 한번 사용한 식용유를 버리기가 아까워 보관하였다가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

 

보기에는 괜찮아 보여도 한번 사용한 식용유는 즉시 버리 것이 좋다.

 

 

 

- 영혼의 식탁 본문중

'눈에관한 이야기 > 건강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깻잎의 효능  (0) 2023.03.10
식이섬유가 풍부한 미나리  (0) 2023.03.10
독소배출에 좋은 음식  (0) 2023.03.10
소울푸드란??  (0) 2023.03.10
식이섬유는 몸을 가볍게 한다  (0) 2023.03.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