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는 누구나 겪게 되는 현상이다. 눈만 해도 그러한데, 아이들의 눈은 동그랗고 생기가 넘쳐 보이는 반면 나이가 들수록 노화로 말미암아 눈꺼풀이 처지고 눈의 지방층인 안와지방이 불거져 나오며 눈웃음을 지을 때나 생기던 눈가 주름이 평소에도 사라지지 않는 등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자리 잡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미용상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실제보다 더 나이 들어 보이게 해 자신감을 잃게 하고 심한 경우에는 우울증을 초래하기도 하는데, 이보다 더 경계해야 하는 것은 앞을 보는데 문제가 생긴다는 사실이다.







‘윤안과’의 김윤희 원장은 “실제 시력이 나빠졌다며 안과를 찾는 노인 환자 중 많은 분들이 시력이 나쁘지 않음에도 심한 눈꺼풀 처짐으로 앞을 잘 보지 못했다”며 “눈꺼풀이 상측 시야를 막기 때문에 시력과 상관없이 사물을 볼 때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수술로 눈꺼풀을 올려주면 시야가 트여 시력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외적인 젊음도 되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때 같은 눈꺼풀 처짐이라도 모두 같은 방법으로 교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이가 들어 단순히 눈꺼풀의 피부만 늘어진 경우에는 피부만 절제해 봉합하면 되지만, 이마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굵은 주름이 생긴 사람이라면 늘어진 눈꺼풀을 제거하기에 앞서 눈썹을 적당한 위치로 올려주는 수술이 먼저 이루어져야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노인성 안검하수도 눈꺼풀이 처지는 현상을 동반하지만 위의 증상들과 그 원인 다르므로 치료법을 달리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김 원장은 “노인성 안검하수는 나이가 들어 윗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 눈 근육인 상안검거근이 제 위치에서 뒤로 밀려나 나타난다”며 “단순히 눈꺼풀을 절제하고 눈썹을 올려주는 것이 아니라 뒤로 처진 상안검거근을 찾아내 원래 위치에 붙여주어야만 제대로 된 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렇게 원인에 따라 시술법이 다르므로 수술 전 검사가 정확해야 함은 두말할 것 없다. 때문에 윤안과에서는 시술에 앞서 시력을 측정하고 각막의 이상 현상이 관찰되는지, 안구 운동에 장애가 있지는 않은지 등 안구 이상에 대해 면밀히 검사하고 있다.

여기에 눈물 흘림 증상이나 눈물길, 안륜근(눈꺼풀 속 근육) 등의 문제를 체크하고 안검하수 유무와 안검피부의 과잉정도, 안와지방의 양과 돌출부위 그리고 돌출 정도 등 세밀한 검사를 통해 수술 방법 및 상세 계획을 짜 수술에 임한다.

김 원장은 눈꺼풀이 처지는 것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질환이라고 말한다. 특히 여성에게 많은 고민을 불러올 것 같지만 의외로 사회 활동이 풍부한 남성에게서도 큰 고민거리라고 한다.

이렇게 남녀를 가리지 않는 눈꺼풀 처짐에 시달리고 있다면 눈꺼풀로 인한 시야장애도 해소하고 미용적인 교정으로 자신감을 되찾을 수 있도록 가까운 안과를 찾아 전문의와 상담을 받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좋으리라 본다. [데일리안 = 안경숙 기자]


[도움말 : 윤안과 김윤희 원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