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 때 발증하는 안질환은 엄마가 잘 관찰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애기의 눈빛, 눈쏠림, 눈비빔 등을 잘 관찰해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유아성 내사시인 경우 애기일 때 수술을 받아야 좋은데 실기하면 완전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안질환 | 증상 해설 |
망막아세포종 | 어두운 곳에서 눈에 빛이 닿았을 때 고양이의 눈처럼 흰 빛을 번뜩이는 경우를 “백색 동공”이라고 말한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증하는데 망막아세포종이라고 하는 눈의 암인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급히 안과에서 진단을 받아야 한다. |
유아 내사시 | 생후 6개월 미만에서 발증하는 내사시로, 안구의 질환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한국인의 젖먹이는 코뿌리 부위가 평탄하고 넓기 때문에, 안쪽의 흰자위가 숨어있어 얼핏 보기에는 내사시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위사시:가성내사시). 그러나 내사시의 유무를 판별하기는 간단하지 않다. 걱정이 되면 소아과에 가지 말고 반드시 안과에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유아 내사시가 있으면 조기에 수술을 받도록 한다. |
조절성 내사시 | 원시가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내사시이다. 보통 1세 전후에서 발증한다. 초기에는 가까운 물체를 볼 때만 눈이 쏠리는데 가까운 시일내에 하루종일 내사시가 보이게 된다. 원시 교정 안경을 착용함으로써 치료가 된다. |
간헐성 외사시 | 1세 전후에서 침대에서 깨어나 정신이 없을 때 한쪽 눈이 밖으로 치우친다. 가장 많이 보이는 사시이다. 의식이 뚜렷해서 집중하고 있을 때 시선이 모아지고 양안시가 가능하면 수술은 급하지 않다. 한쪽 눈의 시력이 나쁘면 그 쪽의 눈이 밖으로 빗나가기 쉬으므로 시력의 체크가 매우 중요하다. |
부동시성 약시 | 한쪽 눈이 원시 및 난시, 근시가 강할 때 일어나는 약시이다. 좋은 쪽 눈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시력을 검사할 때까지 알아채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3살 때 시력 검사가 대단히 중요하다. 치료는 적절한 안경을 착용하는 것과, 좋은 쪽 눈을 가리고 나쁜 쪽 눈을 강제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약시 훈련이 있다. |
굴절성 약시 비정시성 약시 |
양안의 원시 및 난시가 강해서 일어나는 약시이다. 치료는 적절한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다. |
첩모난생 | 속눈썹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불규칙하게 안구 쪽을 향하여 자라서 각막·결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생후 3개월쯤부터 1세까지의 유아는 아래 속눈썹이 눈 속으로 들어가는 상태를 잘 볼 수 있다. 유아의 속눈썹은 부드러우므로 이 시기에는 각막에 상처를 입히는 일이 거의 없다. 1세를 지나 3살까지는 얼굴이 홀쭉한 모양을 하고 있어서 자연히 회복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3세가 지나서도 속눈썹을 치료하지 않을 때는 각막 상처의 상태를 봐서 수술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눈부심이나 눈물이 쉽게 나오거나 자꾸 눈을 비빌 때에는 주의를 요한다. |
[글] (주)시선 기술고문 강현식 교수 (hskang@seesun.tv) |
'눈에대한 질병및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에 상처를 입었을 때 응급처치 요령 (0) | 2023.03.13 |
---|---|
해수욕을 떠나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주의사항 (4) | 2023.03.12 |
눈꺼풀이 처져 눈이잘 안보인다면?? (1) | 2023.03.11 |
눈물이 자꾸만 흐르는 증상 (0) | 2023.03.11 |
VDT증후군이란? (0) | 2023.03.11 |